패션섬유정보

봉제와 그외과정 - 봉제과정전반(재단,나염,자수)

bauwau 2025. 7. 2. 09:01
728x90
반응형

  오늘은 우리가 디자인한 옷이 실제 원단으로 만들어지는 첫 단계, 바로 **재단(Cutting)**과 **나염, 자수 **에 대해 이야기해 볼까

합니다.


 1. 효율적인 재단 과정

 봉제 공장은 옷을 만들기 위해 가장 먼저 **패턴(Pattern)**을 받습니다. 이 패턴은 옷의 각 부분을 정확한 크기와 모양으로 나타낸 설계도라고 할 수 있습니다.

  1. 원단 준비 및 적층: 재단 작업자는 받은 패턴을 바탕으로 필요한 원단을 준비하고, 재단판 위에 여러 겹으로 쌓아 올립니다. 이때 원단의 종류, 두께, 디자인 등을 고려하여 정확한 수량과 방향으로 쌓는 것이 중요합니다.
  2. 패턴 배치 및 요척 최적화: 원단을 쌓은 후에는 그 위에 패턴을 올립니다. 이때 가장 중요한 것은 **요척(Yield)**을 최소화하는 것입니다. 요척은 옷 한 벌을 만드는 데 필요한 원단의 양을 의미하는데, 요척이 작을수록 원단 낭비를 줄여 생산 단가를 낮출 수 있습니다. 재단 작업자는 다양한 크기의 패턴(예: S, M, L 사이즈)과 옷의 각 부위(소매, 몸판 등) 패턴을 원단의 폭에 맞춰 마치 퍼즐을 맞추듯이 가장 효율적인 형태로 배치합니다.
  3. 재단 작업: 패턴 배치가 완료되면, 전문 재단 기계를 사용하여 패턴 선을 따라 정확하게 원단을 자릅니다. 이 과정에서 한 치의 오차도 없이 정확하게 잘라내는 것이 고품질의 옷을 만드는 데 핵심적인 부분입니다.

원단을 여러개 쌓아놓고 사이즈별로 재단한 모습 - 사진:네이버블로그 허락받은 사진


  2. 옷에 개성을 더하는 특수 가공 (나염과 자수)

  재단이 끝난 원단은 바로 봉제에 들어가기도 하지만, 디자인에 따라 **나염(Printing)**이나 **자수(Embroidery)**와 같은 특수 가공을 거치기도 합니다. 이러한 작업은 옷에 독특한 문양이나 로고를 새겨 넣어 개성을 더하는 역할을 합니다.

 1) 나염 (프린팅)

 나염은 원단 위에 염료를 사용하여 그림이나 문양을 찍어내는 작업입니다.

  • 작업 방식: 디자인의 **색상 수(Color Count)**에 따라 판을 제작합니다. 예를 들어, 빨강, 파랑, 노랑 세 가지 색상이 들어간 디자인이라면 세 개의 판이 필요합니다. 각 색상 판을 사용하여 염료를 입히는 작업을 색상 수만큼 반복하여 최종 디자인을 완성합니다.
  • 가격 결정: 나염은 색상 수가 많을수록 제작해야 할 판의 개수와 작업 공정이 늘어나기 때문에 단가가 올라갑니다. 물론, 나염의 크기나 염료의 종류에 따라서도 가격은 달라질 수 있습니다.
  • 작업 위치 표시: 나염 작업이 필요한 경우, 재단된 원단에 정확한 나염 위치를 표시하여 나염 전문 업체로 보내 작업을 진행합니다.

왼쪽:나염전 배치,오른쪽:나염후기계로 열처리 - 사진:네이버블로그 허락받은 사진

 2) 자수

 자수는 실을 사용하여 원단 위에 문양이나 로고를 수놓는 작업입니다.

  • 작업 방식: 자수는 나염처럼 판을 제작하는 방식이 아니라, 디자인을 컴퓨터 프로그램에 입력하여 자수 기계가 자동으로 수를 놓는 방식으로 진행됩니다.
  • 가격 결정: 자수의 가격은 디자인의 침수(Stitch Count), 즉 바느질 땀수에 따라 결정됩니다. 디자인이 복잡하고 많은 실이 사용될수록 침수가 늘어나 단가가 높아집니다.
  • 작업 위치 표시: 자수 작업이 필요한 경우, 재단된 원단에 정확한 자수 위치를 표시하여 자수 전문 업체로 보내 작업을 진행합니다.

자수모양 프로그램된 상태로 배치된 원단에 작업 - 사진:네이버블로그 허락받은 사진


  3. 알아두면 좋은 심화 지식: 전체 면적 가공

 위에서 설명한 나염과 자수는 주로 옷의 특정 부위(가슴, 소매 등)에 적용하는 **'피스 작업'**이 일반적입니다. 하지만 경우에 따라 원단 전체에 나염이나 자수를 놓는 방식도 있습니다.

  • 전체 자수 (All-over Embroidery): 레이스 원단처럼 원단 전체에 정교한 자수 문양이 필요한 경우나, 옷 전체에 통일감 있는 자수 패턴을 넣고자 할 때 사용됩니다. 일반적인 부분 자수보다 작업 시간과 비용이 더 많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.
  • 전체 나염 (All-over Printing): 주로 유아 내의나 특정 캐릭터 의류처럼 옷 전체에 반복되는 그림이나 패턴을 넣을 때 사용됩니다. 이 방식은 피스 나염보다 대량 생산에 유리하여 단가가 더 낮아지는 경우가 많습니다. 원단 자체에 미리 패턴을 입히는 방식이므로 봉제 전 과정에서 이루어집니다.

※좋아요와 구독 부탁 드립니다. 더좋은 이야기로 이어가겠습니다.

※내용을 퍼 가실땐 꼭! 출처를 알려주십시요.

    불법적으로 퍼가는것 금지합니다.

728x90
반응형